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은 가야 시대의 금속 공예 기술과 문화를 보여주는 국보 제138호이다. 1960년대 도굴된 후, 삼성가에 소유권이 귀속되었으며, 출토지에 대한 논란과 소유권 문제가 남아있다. 금관은 머리띠와 풀꽃 모양 장식, 부속 금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제와 신라 금관의 양식을 엿볼 수 있다. 현재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삼국시대 문화 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금관 정보 | |
![]() | |
명칭 | |
한국어 | 금관 및 부속 금구 |
한자 | 金冠및附屬金具 |
로마자 표기 | Geumgwan mit Busok Geumgu |
문화재 지정 정보 | |
유형 | 국보 |
이름 |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
영어 이름 | Gold Crown and Ornaments from Goryeong (Presumed) |
지정 번호 | 138 |
지정일 | 1971년 12월 21일 |
주소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소유자 | 삼성문화재단 |
수량 | 일괄 |
시대 | 삼국시대 |
문화재청 ID | 11,01380000,11 |
2. 역사
금관은 1960년대에 도굴꾼 장형수(張亨秀)가 고분에서 도굴한 것을 골동품상 윤명선(尹明善)을 거쳐 이병철 또는 그의 친형 이병각에게 110만원으로 팔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는 광복 이후 한반도에서 처음 발견된 금관이었다.[3] 금관은 그 이후 삼성가가 설립한 호암미술관 · 삼성문화재단이 소유하고 있다.
호암미술관은 고령의 대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금관이라고 주장했다.[4] 하지만 도굴꾼이 대구 달성군 현풍읍 고분을 도굴한 혐의로 유죄를 받았기 때문에 금관의 출처가 달성군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며, 출처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금관이 가짜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4] 고령 지산동 고분군 45호분을 발굴한 뒤에는 석실에 남아 있던 장식이 금관에 있는 것과 일치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45호분에서 도굴된 금관으로 추정하고 있다.[5]
2. 1. 출토지 논란
2. 2. 소유권 논란
1963년 도굴 사건 때 주범은 문화재보호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이병철은 금관을 선의에 의한 취득을 했다고 판단하여 소유권을 인정받았다.[3] 2006년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이에 대한 지적이 있었으나 문화재청은 국가 귀속이 어렵다고 답했다.[6] 한편 신종환 대가야박물관장 등은 금관이 도굴 경위가 분명한 장물이기 때문에 국가가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3. 형태 및 특징
금관은 높이 11.5cm, 밑지름 20.7cm로, 머리에 두르는 넓은 띠 위에 4개의 풀꽃 모양 장식이 꽂혀 있는 형태이다.
관테는 넓은 띠는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아래위에 점을 찍어 다이아몬드 무늬를 새기고 원형 금판을 달아 장식했다. 띠에는 옥 곡옥/曲玉한국어이 달려 있으나, 발굴 당시에는 관에서 발견되지 않아 원래부터 달려 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입식의 풀꽃 모양 장식은 대칭되는 네 곳에 금실로 고정되어 있으며, 드문드문 원형 금판이 달려 있다. 이러한 풀꽃 모양 장식은 백제 금동관과 유사한 형태이나, 경주에서 출토되는 신라 금관과는 다른 양식이다.
부속 금제품은 금관과 함께 발견된 부속 금제품으로는 원형, 은행형, 꽃형, 곡옥 외에도 금환(金環), 드리개(금제수식)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부속품들이 금관의 어느 부분에 어떤 방식으로 부착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부속 장식들은 백합 문양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풀 모양이나 꽃 모양으로 더 자주 묘사된다. 각 부속 장식은 동일하며, 직각으로 아래로 흐르는 세 쌍의 갈래가 있으며, 보석 모양의 꼭대기로 장식되어 있다. 이 부속 장식들은 신라의 양식화된 관이 아닌, 꽃 모양의 패턴을 가진 백제의 관과 유사하다. 옥 곡옥과 작은 금 디스크가 금 장식에 부착되었다. 이 장식들은 신라 양식을 따르며, 관의 머리띠와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무늬의 점선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1. 관테
넓은 띠(관테)는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아래위에 점을 찍어 다이아몬드 무늬를 새기고 원형 금판을 달아 장식했다. 띠에는 옥 곡옥/曲玉한국어이 달려 있으나, 발굴 당시에는 관에서 발견되지 않아 원래부터 달려 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 2. 입식
풀꽃 모양 장식은 대칭되는 네 곳에 금실로 고정되어 있으며, 드문드문 원형 금판이 달려 있다. 이러한 풀꽃 모양 장식은 백제 금동관과 유사한 형태이나, 경주에서 출토되는 신라 금관과는 다른 양식이다.3. 3. 부속 금제품
금관과 함께 발견된 부속 금제품으로는 원형, 은행형, 꽃형, 곡옥 외에도 금환(金環), 드리개(금제수식)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부속품들이 금관의 어느 부분에 어떤 방식으로 부착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부속 장식들은 백합 문양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풀 모양이나 꽃 모양으로 더 자주 묘사된다. 각 부속 장식은 동일하며, 직각으로 아래로 흐르는 세 쌍의 갈래가 있으며, 보석 모양의 꼭대기로 장식되어 있다. 이 부속 장식들은 신라의 양식화된 관이 아닌, 꽃 모양의 패턴을 가진 백제의 관과 유사하다. 옥 곡옥과 작은 금 디스크가 금 장식에 부착되었다. 이 장식들은 신라 양식을 따르며, 관의 머리띠와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무늬의 점선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4. 의의 및 평가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은 가야의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과 독자적인 문화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특히 신라, 백제 금관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삼국시대 문화 교류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금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띠에는 옥 곡옥이 부착되어 있다. 관의 부속 장식들은 백합 문양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풀 모양이나 꽃 모양으로 더 자주 묘사되며, 이는 꽃 모양의 패턴을 가진 백제의 관과 유사하다. 네 개의 꽃 모양 장식은 신라 양식을 따르며, 관모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도굴로 인해 출토지가 불분명하고, 소유권 문제가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현재 호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1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도굴품으로 밝혀진 가야금관
https://v.daum.net/v[...]
2024-11-16
[2]
뉴스
『옛文化의貯藏庫』짓밟는 古墳盜掘 轉賣된金冠行方은?
https://newslibrary.[...]
1963-07-23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mk.co.kr[...]
2021-07-28
[4]
뉴스
https://news.v.daum.[...]
[5]
뉴스
https://news.v.daum.[...]
[6]
뉴스
https://www.tbc.co.k[...]
[7]
뉴스
https://www.tbc.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